신한은행 2022년 상반기 디지털/ICT 수시채용 삼성청년SW아카데미 특별전형 1차 면접 후기(불합격)

취업 과정|2022. 5. 28. 13:20
728x90

오늘(2022.05.25 수) 신한은행 1차 면접을 봤다.

서류 전형을 합격하고 나면 동시에 AI 역량검사, 코딩 테스트, 1차 면접에 대한 안내를 채용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마 3가지를 종합적으로 산출하여 2차 면접 대상자를 뽑는 게 아닐까 싶다.

1차 면접은 역시 코로나 때문에 비대면으로 봤으며 사이트는 JOBFLEX를 이용하였다.

사이트로 이동하면 첫 화면에 면접 환경 체크하기, 플러그인 설치하기, 화상면접 시작하기 이렇게 3가지가 있고 환경 체크부터 차례대로 하면 된다.

다만 필자는 분명 다 체크하고 플러그인도 설치했는데 막상 시간 되고 들어가려 하니까 접속 오류가 떴었다......

원래 면접 때 잘 긴장하지 않는데 면접 시작 10분 전부터 접속이 가능한 상황에서 다 체크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접속 오류가 뜨니까 진정할 수가 없었다 ㅠ.ㅠ

그래서 안내 창에 있는 오픈 채널을 통해 연락을 했고 결국 방 번호를 통해 폰의 zoom으로 접속했었다.

근데 웬일..... 원래 폰도 한 번씩 재부팅을 해줘야 되는데 켜 둔 지 오래라 그런지 렉이 걸리는 바람에 2차 멘붕까지 왔었다.

여차 저차 해서 가까스로 접속을 하니 원래 시작 시간인 10분에서 14분 지난 24분에 시작을 하게 됐고 다행히 면접관님들께서 시스템 오류로 시간이 지났으니 최대한 감안하고 진행하겠다 하셨다.

상당히 당황을 많이 한 시점에서 면접을 진행하게 되어 의욕이 앞선 모습이 많이 나오긴 했지만 다행히 질문 자체가 어려운 것은 없었다.

주로 자소서 기반으로 질문이 나왔으며 40% 정도는 인성 질문이 나왔다.

다만 프로젝트 진행 중인 시기라 준비가 미흡한 부분에 대한 답변을 잘못 말한 건 아쉬움이 많이 남았지만 중간중간 "말씀 들어보니 많이 준비하신 것 같네요" 란 말을 들어서 망했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

면접 진행이 예정되었다면 반드시 플러그인 같은 것을 꼭 확인하고 실행해도 PC에 따라 적용 안 되는 경우가 있으니 꼭 예비용으로 폰에 zoom을 설치하는 것을 추천한다.

문제가 생기면 바로바로 카톡 채널로 연락하고 면접에 관해선 자신이 경험한 부분에 대해 꼬리 질문을 여러 가지 준비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충분한 준비가 안되었다면 알던 내용도 잘못 말할 수 있고 깔끔하게 정리된 문장으로 답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 발표가 뜨는 대로 포스팅을 수정하도록 하겠다.

오늘 (2022.06.03 금) 결과 발표가 났다.

나름 어필을 잘했다 생각했는데 막상 불합격 소식을 들으니 씁쓸한 기분이 들었다.

백엔드나 프레임워크에 대한 경험이 없었을 때야 역량 부족인 것을 이해했지만 많이 준비하셨단 말을 듣고도 떨어지니 의욕이 많이 앞선 게 문제가 아닐까 추측만 하게 된다.

역량 면접에서 역량을 충분히 어필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어필할 역량을 충분히 쌓아서 맘 편하게 면접에 임했었는데 이젠 싸피를 통해 모의 면접으로 도움을 받아야겠단 생각이 든다.

취뽀하는 그날까지 열심히 달리도록 하겠다!!

728x90

댓글()

신한은행 2022년 상반기 디지털/ICT 수시채용 삼성청년SW아카데미 특별전형 코딩 테스트 후기

취업 과정|2022. 5. 14. 12:28
728x90

오늘 (2022.05.14) 신한은행 디지털/ICT 부문 코딩 테스트를 봤다.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머스에서 화상캠까지 연결하여 봤는데 해당 과정에서 다소 불편했던 점은 대부분의 기업들은 해당 링크와 전형 설명을 메일로 보내 확인하기 편리했지만 신한은행은 해당 채용 사이트의 마이 페이지로 들어가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마이 페이지에는 코딩 테스트 안내는 물론 AI 역량 검사, 추후 면접 관련 내용까지 함께 있었다.

각설하고 신한 은행의 코딩 테스트는 처음 봤는데 다른 은행권들의 코테 수준에 비하면 다소 어려운 편인 것 같다.

오픈 단톡방의 반응을 보면 최근 시행된 국민은행보다 어려웠고 신한이 유독 이번 코테가 어려웠다고 한다.

물론 필자처럼 보통의 IT기업(네이버, 라인, 카카오)의 코테를 목표로 준비하였다면 충분히 다 풀 수 있는 건 사실이다.

다만 새마을금고 중앙회, IBK 기업은행 등의 코테를 본 경험에 의하면 역시 은행권 치고는 어렵게 나온 것 같다.

150분 동안 알고리즘 4문제, SQL 1문제가 나오므로 문제당 30분 정도이고 난이도도 그에 맞게 나온 것 같다.

근데 SQL은 상당히 어렵게 느껴졌다.

평소에 SQL은 기본적인 CRUD 기능만 사용하기에 준비가 안되어있기도 해서 문제를 읽어보고 기본적인 문법에 중첩 질의(Nested Query) 수준이라면 풀어볼 생각이었지만 그보다 더 복잡하게 나와서 처음으로 SQL문제를 포기한 것 같다.

알고리즘 문제는 다소 헷갈려서 시간을 오래 잡아먹은 문제도 있긴 했지만 IT기업의 코테를 목표로 준비했다면 충분히 다 풀 수 있는 수준이었다.

어려운 개념이 나온 것도 아니고 완탐, 조합, 구현 수준으로 나왔다.

특히 ssafy에서 알고리즘 강의시간에 순열 조합을 많이 풀어봐서 익숙한 편이었다.

팁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전체적으로 문제를 훑어보고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것 같다.

필자는 sql문제를 보고 해결하기 어렵다 판단하여 2분 만에 바로 포기했으며 가장 구현이 쉽고 바로 구현 방식이 떠오르는 문제부터 시작했다.

그렇게 푸니 대략적으로 3번은 7분, 1번은 20분 정도 걸려서 남은 시간 동안 여유롭게 2, 4번을 해결할 수 있었다.

머리를 써야 하다 보니 시간에 쫓기면 그만큼 문제 해결이 더뎌지기 때문이다.

단톡방의 투표를 보니 3, 2, 1, 4, 5, 0 순으로 제출이 많았다.

따라서 추측컨대 3 솔에서 채용인원에 따라 최대 2 솔까지가 합격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결과 메일 오는 대로 수정하도록 하겠다.

728x90

댓글()